이만희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만희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서울 출생으로, 경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5년 연극배우로 데뷔했으며, 1956년 영화 《사도세자》에 단역으로 출연하며 영화 배우 활동을 시작했다. 안종화 감독에게 연출 수업을 받은 후, 1961년 영화 《주마등》으로 감독 데뷔했다. 《칠인의 여포로》, 《돌아오지 않는 해병》 등 다수의 작품을 연출했으며, 영화 《삼포 가는 길》 편집을 마무리하던 중 간암으로 사망했다. 1964년 대종상 감독상, 1967년 대종상 작품상, 청룡영화상 감독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만희 - 이혜영 (1962년)
영화감독 이만희의 딸이자 1981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한 이혜영은 연극,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겨울 나그네》, 《미안하다, 사랑한다》, 《카지노》 등의 작품과 백상예술대상, 대종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경성경신고등보통학교 동문 - 방우영
방우영은 조선일보의 회장으로서 조선일보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밤의 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고, 언론 사업 확장과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 언론인이다. - 경성경신고등보통학교 동문 - 안창호
안창호는 평안남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상가로서, 서양식 교육과 기독교 입교 후 독립협회 활동, 대한국민회 설립 등 해외 독립운동, 신민회 조직, 흥사단 재건 등 국내외 민족 교육과 계몽 운동에 헌신하며 민족 개조를 주창하고 이상촌 건설을 추진하다 일제의 탄압으로 옥중에서 병사하였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자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자 - 박찬욱
박찬욱은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다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여, 복수 3부작과 인간이 아닌 존재의 3부작 등 독특한 스타일의 작품들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세계적인 거장으로,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이며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만희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만희 |
원어명 | 이만희 |
출생일 | 1931년 10월 6일 |
출생지 | 서울, 대한민국 |
사망일 | 1975년 4월 13일 (향년 43세)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직업 | 영화 감독 |
활동 기간 | 1955년 ~ 1975년 |
배우자 | 문숙 (1974-1975) |
자녀 | 1남 2녀 |
차녀 | 이혜영(영화 배우) |
학력 | 서울 경신고등보통학교 졸업 |
2. 생애
서울 출생으로 본관은 전주이다. 서울 경신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55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1956년 영화 《사도세자》에 자객 역으로 단역 출연하며 영화배우로도 활동하였다. 이후 안종화 감독에게서 연출 수업을 받고 1961년 영화 《주마등》으로 영화감독 데뷔를 하였다. 《칠인의 여포로》, 《돌아오지 않는 해병》 등을 감독하였으며, 영화 배우 이혜영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마지막 작품인 《삼포 가는 길》 편집을 마무리하던 중 간암으로 타계하였고, 유작은 사망 1개월 후 개봉되었다.[10] 문정숙과는 7년 이상 연인 관계였으나, 결혼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11]
2. 1. 어린 시절과 영화계 입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며 서울 출생이다. 서울 경신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55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이듬해 1956년 영화 《사도세자》에 자객 역으로 단역 출연하며 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 그 후 안종화 감독 밑에서 영화 연출 수업을 받았으며, 1961년 영화 《주마등》으로 영화감독 데뷔하였다.[10]2. 2. 감독 데뷔와 활동
서울 경신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55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이듬해 1956년 영화 《사도세자》에 자객 역으로 단역 출연하며 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 그 후 안종화 감독 밑에서 수업을 받고, 1961년 영화 《주마등》으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였다.[10] 《칠인의 여포로》, 《돌아오지 않는 해병》 등의 영화를 감독했다. 영화배우 이혜영의 아버지이기도 한 그는 마지막으로 메가폰을 잡은 영화 《삼포 가는 길》의 편집을 마무리하던 중 간암으로 타계하였고, 그가 죽고 1개월 후 유작이 개봉되었다.[10] 그의 오랜 히로인이자 페르소나인 배우 문정숙과는 7년 이상 연인 관계였으나, 결혼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11]2. 3. 작품 세계
이만희는 1961년 영화 《주마등》으로 데뷔한 후, 《돌아오지 않는 해병》, 《칠인의 여포로》 등 다양한 작품을 연출하였다.[10] 배우 문정숙은 그의 작품에 자주 출연하며 오랜 기간 연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결혼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11] 이만희는 마지막 작품인 《삼포 가는 길》의 편집을 마무리하던 중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유작은 사망 1개월 후 개봉되었다.[10]2. 4. 문정숙과의 관계
이만희는 문정숙과 7년 이상 연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결혼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11]2. 5. 사망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전주이다. 서울 경신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61년 영화 《주마등》으로 영화감독 데뷔하였다. 《칠인의 여포로》, 《돌아오지 않는 해병》 등의 영화를 감독했다. 마지막으로 메가폰을 잡은 영화인 《삼포 가는 길》의 편집을 마무리하던 중 간암으로 사망하였고, 그가 죽고 1개월 후 유작이 개봉되었다.[10]3. 학력
경신고등학교를 졸업했다.
4. 작품
이만희 감독은 1961년 《주마등》으로 데뷔하여 1975년 《삼포 가는 길》까지 다양한 작품을 연출하였다. 그의 작품 중에는 돌아오지 않는 해병, 만추, 휴일 등이 대표적이다.
4. 1. 감독
연도 | 제목 | 비고 |
---|---|---|
1961 | 주마등 | |
1961 | 불효자 | |
1962 | 다이알 112를 돌려라 | |
1962 | 살아있는 그날까지 | |
1963 | 돌아보지 마라 | |
1963 | 돌아오지 않는 해병 | |
1963 | 열두냥짜리 인생 | |
1963 | 한석봉 | |
1963 | YMS 504의 수병 | |
1964 | 내가 설땅은 어디냐 | |
1964 | 마의 계단 | |
1964 | 협박자 | |
1964 | 검은 머리 | |
1964 | 추격자 | |
1964 | 묘향비곡 | |
1965 | 시장 | |
1965 | 흑맥 | 신성일, 문희 |
1965 | 7인의 여포로 | |
1965 | 흑룡강 | |
1966 | 군번없는 용사 | |
1966 | 만추 | |
1966 | 잊을 수 없는 연인 | |
1966 | 물레방아 | |
1967 | 사기한 미스터 허 | |
1967 | 싸리골의 신화 | |
1967 | 망각 | |
1967 | 삼각의 공포 | |
1967 | 귀로 | |
1967 | 얼룩무늬의 사나이 | |
1967 | 원점 | |
1967 | 냉과 열 | |
1967 | 기적 | |
1967 | 방콕의 하리마오 | |
1968 | 외출 | |
1968 | 창공에 산다 | |
1968 | 여로 | |
1968 | 휴일 | |
1969 | 암살자 | |
1969 | 생명 | |
1969 | 여자가 고백할 때 | |
1969 | 여섯개의 그림자 | |
1970 | 고보이 강의 다리 | |
1971 | 쇠사슬을 끊어라 | |
1972 | 영시 | |
1972 | 04:00 -1950- | |
1972 | 일본해적 | |
1974 | 청녀 | |
1974 | 들국화는 피었는데 | |
1974 | 태양 닮은 소녀 | |
1974 | 삼각의 함정 | |
1975 | 삼포 가는 길 |
5. 수상
시상식 | 수상 부문 | 작품 |
---|---|---|
백상예술대상 | 영화 대상 | 만추 (1967년) |
대종상 | 감독상 | 돌아오지 않는 해병 (1964년) |
작품상 | 귀로 (1967년) | |
청룡영화상 | 감독상 | 돌아오지 않는 해병 (1963년) |
감독상 | 시장 (1966년) |
참조
[1]
웹사이트
LEE Man-hee
http://www.koreanfil[...]
2016-09-02
[2]
웹사이트
Director Lee Man-hee: His Life and Movies
https://www.google.c[...]
2016-09-02
[3]
웹사이트
The 40th Anniversary of LEE Man-hee's Death
http://www.koreanfil[...]
2015-10-07
[4]
웹사이트
Masters of Korean cinema/Lee Man-hee, the forgotten master
http://www.koreanfil[...]
[5]
웹사이트
http://english.ohmyn[...]
[6]
웹사이트
lee-man-hui in biographical summaries of notable people
https://www.myherita[...]
2023-12-23
[7]
웹사이트
영화배우 문숙이 30년 만에 고백하는 "23세 연상 고 이만희 감독과의 운명적인 만남과 사랑, 가슴 아픈 이별…"
http://woman.donga.c[...]
2007-09-22
[8]
웹사이트
Image
http://www.koreafilm[...]
[9]
웹사이트
http://www.kmdb.or.k[...]
[10]
뉴스
청춘은 맨발이다 (120) 명감독의 최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11]
뉴스인용
"문정숙·이만희 시들해진「여보·당신」"
http://www.seoul.co.[...]
선데이서울
1969-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